분류 전체보기 281

윈도우10 설치 후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시스템에 접근 시 연결할 수 없다는 오류 발생

문제 : 윈도우10 설치 후 네트워크에 있는 다른 시스템에 접근 시 연결할 수 없다는 오류 발생 원인 : Network File System 서비스가 정상 실행되고 있지 않아서 발생될 수 있음 조치 : Windows 기능 켜기/끄기 실행해서 NFS와 SMB 1.0/CIFS 항목 2개를 체크해서 활성화하면 접근 가능 ※ 추가 : Win10 Pro에서는 아래 그림의 NFS용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네트워크 검색 속도가 느리거나 찾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 같습니다. 맨 아래 그림의 Win10 Home 버전의 설정처럼 NFS용 서비스 항목은 해제하고 SMB 1.0/CIFS 클라이언트만 선택해서 사용하면 빠르게 사용이 가능합니다.

카테고리 없음 2022.08.01

widows10에서 관리자 설정

로컬 사용자 계정 만들기 시작 > 설정 > 계정을 선택한 다음 가족 및 기타 사용자를 선택합니다. (일부 Windows 버전에서는 다른 사용자가 표시됩니다.) 다른 사용자 추가 옆에 있는 계정 추가를 선택합니다. 이 사람의 로그인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를 고른 후 다음 페이지에서 Microsoft 계정 없이 사용자 추가를 선택합니다. 사용자 이름, 암호 또는 암호 힌트를 입력하거나 보안 질문을 고른 후 다음을 선택합니다. 설정을 열고 다른 계정 만들기 로컬 사용자 계정을 관리자 계정으로 변경 시작 >설정 > 계정을 선택합니다. 가족 및 다른 사용자에서 계정 소유자 이름(이름 아래에 “로컬 계정”이 표시됨)을 선택한 다음 계정 유형 변경을 선택합니다.

카테고리 없음 2022.06.11

자바퍼즐 소스

package tt; /* 퍼즐게임 소스 설명 우선 버튼을 3X3으로 세팅....버튼을 9개와 랜던 버튼과 순서가 맞는지 확인하는 버튼을 만든다... * 또 Rectangle 클래스를 생성하여 좌표위치를 입력한다..버튼을 생성한 다음 Rectangle을 버튼에 넣어 버튼의 위치를 잡아준다.] * 그리고 나서 클릭한 버튼 주위에 빈칸이 있는지 확인하고 빈칸이 있을 경우 그곳으로 버튼을 옮긴다...이때 사용하는 메소드가 checkIsEmpty()이다 * 버튼을 옮기다가 순서에 맞으면 check버튼을 눌러 성공여부를 확인한다...그리고 랜덤함수를 구현하여 게임을 다시 시작할 수 있게하였다 자세한 설명은 메소드별로 할 것이다.. */ //소스를 돌리기 위해서 옆에 있는 절대위치에 a0와 그외 이미지가 필요하다...

카테고리 없음 2022.06.10

릴레이

릴레이를 사용하면 아두이노로 높은 전압의 가전제품을 켜고 끌 수 있습니다. 그 말은 집에 있는 전등, 히터, 선풍기 같은 아날로그 스위치를 가진 거의 모든 가전제품에 사용 가능하단 뜻입니다. 이런 제품들은 220V 전원을 사용합니다. 아두이노로 직접 이 전압을 제어할 수 없습니다. 따라서 아두이노의 출력 5V로 동작할 수 있는 전자식 스위치인 릴레이가 필요합니다. 릴레이는 어떤 조건이 되면 동작하게 사용됩니다. 예를 들면 '온도가 20도 이하이면 릴레이를 동작해라' 같은 동작입니다. 거의 모든 센서와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스마트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 센서와 릴레이, 스마트 히터는 온도센서와 릴레이, 스마트 건조기는 습도센서와 릴레이와 같이 다양한 조합이 가능합니다. 아두이노가 스마트폰과 연결돼 ..

카테고리 없음 2020.08.23

자동로그인 해제

​ 아이디/비밀번호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있다면, 사용 중인 익스플로러에서 자동 저장 기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 주셔야 합니다. ​ 자동 저장 기능은 익스플로러에서 제공하는 기능이므로, 아래의 방법으로 설정을 변경하신 후 이용해 주시길 바랍니다. ​ 1. 인터넷 익스플로러 창 상단의 메뉴에서 도구 > 인터넷 옵션 클릭 2. 일반 탭에서 검색 기록의 삭제 클릭 > 암호 체크 후 삭제 3. 내용 탭에서 자동 완성의 설정 클릭 > 양식과 양식에 사용할 사용자 이름과 암호 체크 해제 4. 설정 완료 후 인터넷 옵션 화면 하단의 적용 클릭 ​ 위와 같이 익스플로러의 설정을 변경하시면, 저장되어 있던 아이디/비밀번호가 삭제되어 정상 이용이 가능합니다. ​

카테고리 없음 2019.08.30